새소식

CSS

[CSS] 선언 방법 기초 다지기🌱

  • -

CSS(Cascading Style Sheets)


" HTML로 작성된 문서를  '어떻게 표현'할 지 방법을 정해주는 언어 "

👉 CSS는 HTML 요소들이 각종 미디어에서 어떻게 보이는가를 정의하는 데 사용되는 스타일 시트 언어

👉 CSS는 문서의 콘텐츠와 레이아웃, 글꼴 및 시각적 요소들로 표현되는 문서의 외관(디자인)을 분리하기 위한 목적으로 만들어졌다.

 

 

CSS 사용 예시

📌 셀렉터(선택자)  - 스타일을 적용하고자 하는  HTML 요소를 선택하기 위해 CSS에서 제공하는 수단 

 

[CSS] 선택자(selector) 기초 다지기🌱

CSS(Cascading Style Sheets) " HTML로 작성된 문서를 '어떻게 표현'할 지 방법을 정해주는 언어 " 👉 CSS는 HTML 요소들이 각종 미디어에서 어떻게 보이는가를 정의하는 데 사용되는 스타일 시트 언어 👉 CS

dvlpseo.tistory.com

📌 선언 - 셀렉터를 통해 어떤 요소에 스타일을 적용할건지를 선택한 후, 선택된 요소의 스타일을 선언 블록에서 정의

 


 

 

CSS 선언 방식 

- Link 방식 

HTML에서 외부에 있는 CSS 파일을 로드하는 방식으로 가장 일반적인 방식 

<link>를 이용하여 외부 문서로 CSS를 불러와 적용

<head> 
  <link href="style.css" rel="stylesheet" type="text/css"> 
</head>

 

- Embedding 방식 

HTML 내부에 CSS를 포함시키는 방식

HTML head 안의  <style> </style> 안에 작성하는 방식

<head> 
  <style> 
    .logo {color: #eeeeee;} 
  </style> 
</head>
 

- in-line (인라인) 방식 

HTML 태그(ex: h1, p) 의 style 속성에 직접 기술하는 방식

<body>
    <h1 style="color: red">Hello World</h1>
    <p style="background: aqua">This is a web page.</p>
</body>

 

- @import 방식 

외부 문서로 CSS를 불러와 적용하는 방식

<head> 
  <style type="text/css"> 
    @import url(style.css); 
  </style> 
</head>

 

 

Property 프로퍼티(속성) 정의 

셀렉터로 HTML 요소를 선택하고, {} 내에 프로퍼티(속성)와 값을 지정

프로퍼티는 표준 스펙으로 지정되어 있는 것을 사용하여야하며 사용자가 임의로 정의 불가 

여러 개의 프로퍼티를 연속해서 지정할 수 있으며 세미콜론(;)으로 구분

 

ex) Linked 방식의 태그 셀렉터 (p) 를 선택하고 그 안에 프로퍼티 정의 

p {
  color: ...;
  font-size: ...;
}

 

Value 값(속성 값) 정의 

프로퍼티의 값을 정의해주는 것으로 특정 단위로 지정

(ex. 색상 표현 단위, 크기 단위 등)

p {
  color: orange;
  font-size: 16px;
}

 

 

참고자료:https://poiemaweb.com/css3-syntax  

https://geniusnohkang.tistory.com/17

https://inpa.tistory.com/entry/CSS-%F0%9F%93%9A-css-%EA%B8%B0%EB%B3%B8-%EB%AC%B8%EB%B2%95-%EC%A0%95%EB%A6%AC 

 

 

Contents

포스팅 주소를 복사했습니다

이 글이 도움이 되었다면 공감 부탁드립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