var a = ''; // 문자열
var b = 0; // 숫자
var c = false; // 불린
var d = null; // 널
var e = undefined; // 언디파인드
var f = []; // 배열
var g = {}; // 객체
var h = function() {}; // 함수
이런식으로 var 변수를 지정하면 변수라는 이름으로 (문자열, 숫자, 불린, 널 값) 등을 선언한다는 이야기입니다.
여기서 주의할 점은, = 은 대입한다는 의미이고 == 은 같다라는 의미로 사용됩니다.
* camelCase
var kimJiSoo = 23;
위 예제를 보면 김지수라는 변수를 띄어쓰기 하지 않는 대신 두 번째 단어부터 대문자로 사용하였습니다!
변수 이름에는 띄어쓰기를 하면 안되기 때문에,
camelCase 규칙으로 띄어쓰기 대신 대문자로 표기해줍니다 :)
2. 자료형
문자열 (String)
var string = "string" // 큰 따옴표
var string2 = 'string' // 작은 따옴표
var string3 = "'string'" // 작은따옴표가 문자열에 들어있으면 큰따옴표로 감쌉니다.
var string4 = '"string"' // 반대의 경우
var string5 = '\'string\'' // 한가지 따옴표만 쓰고 싶을 때는 \로 이스케이핑
문자열은 작은 따옴표나 큰따옴표 아무거나 사용하시면 됩니다!
숫자(Number)
var number = 1;
var float = 5.6;
자바스크립트는 다른 언어들처럼 Int, Short, Long, Double 구분이 없어서 숫자 아무거나 넣으면 됩니다!
불린(Boolean)
var bool = true;
var bool2 = false;
true와 false로 사용할 수 있는데 따옴표 없이 true, false로 써주시면 됩니다!
true가 yes의 의미 , false가 no의 의미
Undefined/ Null
var a; // 자동으로 undefined가 들어갑니다.
a; // undefined
var b = 125;
b = null;
b; // null
둘 다 빈 값을 의미하긴 하는데 조금 다릅니다.
undefined는 변수는 생성되었지만 값을 넣어주지 않았을 떄 자동으로 undefined되고,