새소식

zerocho

javascript #2. 객체와 배열

  • -

오늘은 자바스크립트의 객체와 배열에 대해 간단히 알아보겠습니다!

 

1. 객체 

원래 객체란?

물리적으로 존재하거나 추상적으로 생각할 수 있는 것 중에서 자신의 속성을 가지고 있고 다른것과 식별 가능한 것 

을 말하는데,

 

현실의 사물을 프로그래밍에 반영한 것을 말합니다!.

var name = {
  firstName: 'Jisoo',
  lastName: 'Park'
};

자바스크립트로 객체를 만들어보면 위와 같이 name이라는 변수에 {}로 jisoo, park를 감쌌습니다. 

이 덩어리가 바로 객체입니다!.!

 

이 코드에는 두 개의 속성이 있는데, 콤마로 구분되는 것들을 객체의 속성이라고 합니다! 

속성에는 키(key)와 값(value)로 구분할 수 있는데, firstName과 lastName 같은 앞에 오는 변수들을 키라고 부르고 Jisoo, Park과 같은 값을 값이라고 부릅니다. 

 

키는 문자열만 가능하고, 따옴표 없이 사용할 수 있습니다.

하지만 띄어쓰기로 키 값을 정의할 경우 따옴표로 감싸주어 사용할 수있습니다~

속성 값은 문자열, 숫자, 객체, 함수 등등 어떤 값으로 정의해줘도 상관없습니다!

 

만약 이 객체의 속성 값을 사용하고 싶다면, 

name.firstName; //Jisoo
name['firstName']; //Jisoo

객체.속성 키 이런식으로 접근할 수 있습니다.

 

 

2. 배열(Array) 

배열은 [] 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!

이 [] 배열 안에는 무엇이든 다 들어갈 수 있고, 이 안에 들어간 요소들은 속성처럼 쉼표로 구분합니다.

 

var array = [];
var array2 = [1, "Hello", [1,2,3], { hi: 1 }];

 배열과 객체와의 차이점이 뭔지 느껴지시나요??

배열은 객체와 다르게 키 값이 없습니다!

그냥 값들만 순서대로 나열할 뿐이죠. 

따라서 배열 안의 요소들을 찾고 싶다면 몇 번째 요소인지 숫자를 붙여 나타내주면 됩니다.

배열은 0번째부터 시작합니다! 

 

array2에 hello 문자열을 찾고 싶다면 1번째 위치에 있으므로 array2[1]; 이런 식으로 호출해줄 수 있겠죠~~?? 

 

 

 

이번 시간에는 객체와 배열에 대해 기본적인 문법들을 써보았습니다!!ㅎㅎ

다음시간에는 살짝 더 중요한 함수에 대해 이야기해보겠습니다:) 

 

 

 

참고: 제로초 

'zerocho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javascript #6. 반복문  (0) 2023.01.27
javascript #5. 조건문  (0) 2023.01.27
javascript #4. 연산자  (0) 2023.01.26
javascript #3. 함수  (0) 2023.01.26
javascript #1. 변수, 자료형  (0) 2023.01.26
Contents

포스팅 주소를 복사했습니다

이 글이 도움이 되었다면 공감 부탁드립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