ViewModel
-
ViewModel은 대부분 MVVM 패턴에서 사용되는 Model, View, ViewModel 용어에서 들어봤을 것이다. 구글이 개발자들을 위해 Clean Architecture를 쉽게 구현할 수 있도록 라이브러리들을 만들었는데 이를 Android Architecture Components (AAC)라고 부르며 그중 하나가 바로 ViewModel이다. Android Jepack의 구성요소 중 하나로, 본래 ViewModel이란 이름은 소프트웨어 개발 디자인 패턴중 하나인 MVVM(Model — View — ViewModel) 디자인 패턴으로부터 파생되었다. 뷰모델 클래스 ❓ 1. 수명 주기를 고려해 UI 관련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하도록 설계됐다. 2. 뷰모델 클래스를 사용하면 화면 회전 같이 구성을 변..
[android] ViewModel란?ViewModel은 대부분 MVVM 패턴에서 사용되는 Model, View, ViewModel 용어에서 들어봤을 것이다. 구글이 개발자들을 위해 Clean Architecture를 쉽게 구현할 수 있도록 라이브러리들을 만들었는데 이를 Android Architecture Components (AAC)라고 부르며 그중 하나가 바로 ViewModel이다. Android Jepack의 구성요소 중 하나로, 본래 ViewModel이란 이름은 소프트웨어 개발 디자인 패턴중 하나인 MVVM(Model — View — ViewModel) 디자인 패턴으로부터 파생되었다. 뷰모델 클래스 ❓ 1. 수명 주기를 고려해 UI 관련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하도록 설계됐다. 2. 뷰모델 클래스를 사용하면 화면 회전 같이 구성을 변..
2023.07.09 -
이 그림은 안드로이드 공식문서에서 가져온 그림이다. 앱을 설계할 때 UI와 관련된 데이터는 ViewModel + LiveData로 관리하도록 권장하고 있다. 이번 게시글은 LiveData에 대해 이야기해보겠다. LiveData 는 Observer 패턴을 활용하여, Lifecycle 에 따르며 데이터를 관리 이름 그대로 '실시간' 그 자체의 데이터, 즉 항상 최신 데이터를 보증한다는 특징이 있다. Observer? 위에서 말한 observer가 무엇인지 궁금할 수 있다. 나는 livedata를 몰랐을 때는 데이터를 일일이 UI에 업데이트 해주었다..(이건 클린 아키텍처가 아니다.) 그렇다면 매번 데이터를 관찰해주는 관찰자 역할이 있다면 어떨까? 안드로이드에서 Observer가 그런 개념이다. 데이터가 변경..
[android] Livedata란? (feat.ViewModel)이 그림은 안드로이드 공식문서에서 가져온 그림이다. 앱을 설계할 때 UI와 관련된 데이터는 ViewModel + LiveData로 관리하도록 권장하고 있다. 이번 게시글은 LiveData에 대해 이야기해보겠다. LiveData 는 Observer 패턴을 활용하여, Lifecycle 에 따르며 데이터를 관리 이름 그대로 '실시간' 그 자체의 데이터, 즉 항상 최신 데이터를 보증한다는 특징이 있다. Observer? 위에서 말한 observer가 무엇인지 궁금할 수 있다. 나는 livedata를 몰랐을 때는 데이터를 일일이 UI에 업데이트 해주었다..(이건 클린 아키텍처가 아니다.) 그렇다면 매번 데이터를 관찰해주는 관찰자 역할이 있다면 어떨까? 안드로이드에서 Observer가 그런 개념이다. 데이터가 변경..
2023.07.09